망종 뜻과 유래, 먹기좋은 음식
망종 뜻
소만과 하지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6월 6일 무렵이다. 망종은 논보리나 벼 등 씨앗에 수염이 달린 곡식을 파종한다는 뜻으로, 태양의 황경이 75°인 때이다. 이 시기가 끝날 때까지 밭보리를 수확하여 햇보리를 먹게 되며,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이므로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이다. 아이들은 보리이삭 줍기와 보리 그스르기에 바쁘다.
망종의 개요
24절기 중 아홉 번째 날로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있는 절기.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된다. 망종은 태양의 황경이 75°인 날로 대개 6월 6일이다. 절기 이름은 종자를 뿌린다는 의미이나, 한반도에서는 보리를 베고 모내기가 한창인 계절이다.
망종의 유래
'망종'이라는 말은 논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씨를 파종하는 시기라는 뜻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 무렵이 보리를 베고 벼논의 모내기를 하기에 적당한 때이므로, 절기의 이름과는 약간의 계절 차이가 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망종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망종의 초후(初候)에는 사마귀가 들판에 나타나고, 중후(中候)에는 때까치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지빠귀가 울기를 멈춘다. 망종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망종의 사례와 같이 한국의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망종의 풍속
망종 시기가 끝날 때까지 밭보리를 베어 햇보리를 먹게 되며,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이므로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이다. 아이들은 보리이삭 줍기와 보리 그스르기에 바쁘다. "보리는 망종 전에 거두라"는 말이 있는데, 이모작을 하기 위해서는 망종 전에 논밭의 보리를 베어야 논에 모내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가에서 가장 큰 일이 추수와 모내기인데, 이 두 큰 일이 겹치는 때이므로 농가가 가장 바쁜 시절이기도 하다.
망종에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1년 동안 허리가 아프지 않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배탈이 없다는 풍습이 있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 하여 망종의 시기로 풍흉을 점치기도 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음력 4월중에 망종이 들면 좋다고도 하는데, 이는 망종 전에 보리수확을 해야 모내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인 듯하다. 경상남도와 부산 일대에서는 망종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고 보았지만, 전라남도와 충청남도, 제주도에서는 천둥이 치면 농사 작황이 좋지 않고 불길하다고 여겼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오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6월 무렵에 해당)'에 망종, 하지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지역사례
경남 도서 지역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안 좋고 빠르게 들어도 안 좋으며 중간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고 한다. 특히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좋으며,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는 말도 있다. 부산 남구와 강서구 구랑동 압곡에서는 망종에 날씨가 궂거나 비가 오면 그해 풍년이 든다고 한다.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모은 뒤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아 채로 쳐 그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전남 지역에서는 이날 ‘보리그스름(보리그을음)’이라 하여 풋보리를 베어다 그을음을 해서 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한다. 보리가 잘 여물어 그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날 보리를 밤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날 먹는 곳도 있다. 이렇게 하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해에 병이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또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치면 그해의 모든 일이 불길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날 우박이 내리면 시절이 좋다고 말하기도 한다. 전남과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한다.
망종에 먹기 좋은음식
보리 그스름
보리 그스름은 이듬해 보리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는 뜻으로 전라도 지역에서 해 먹었던 망종 음식으로, 망종에 풋보리를 베어 그슬려 먹었다.
보릿가루 죽
제주도에서는 망종에 풋보리 이삭을 뜯어 손으로 비벼 껍질을 벗긴 후 솥에 볶은 후 맷돌에 갈아 채를 쳐 만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믿었다. 이 외에 지역에 따라서는 망종에 벤 보리에 밤이슬을 맞혀 다음날 먹으면 허리가 좋아지고 그해 병치레를 하지 않는다는 속설도 전해지고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원자격증과 평생교육사란? 자격취득방법 (0) | 2020.06.01 |
---|---|
대한민국 동행세일 (0) | 2020.05.29 |
6.10 민주항쟁 기념일 (0) | 2020.05.29 |
에너지 바우처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 (0) | 2020.05.28 |
n번방 방지법 시행 및 효과 (0) | 2020.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