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대서 뜻과 유래 먹기좋은 음식

by 꿈 해몽 풀이 2020. 7. 23.

대서 뜻과 유래 먹기좋은 음식

대서란?

소서와 입추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7월 23일 무렵이다. 대서는 '큰 더위'라는 뜻으로 태양의 황경이 120°인 때이다. 중복 시기와 비슷하며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시기이다.

 

24절기 중 열두 번째 날로 소서(小署)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는 절기.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된다. 대서 무렵에는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펼쳐진다.

대서의 유래

'대서'라는 말은 '큰 더위'라는 뜻으로 '작은 더위'를 뜻하는 절기인 '소서' 다음에 오며, 연중에서는 1월에 있어 '작은 추위', '큰 추위'를 뜻하는 절기인 소한(小寒), 대한(大寒)과 대치되는 시기이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대서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대서의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에서 곤충이 자라고, 중후(中候)에는 흙이 습해지며 날씨가 더워지고, 말후(末候)에는 큰 비가 때때로 내린다.

 

 

대서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어 이런 절기 묘사는 실제로 한반도의 소서 시기의 기후와 유사하다. 한반도에서는 장마가 지나고 무더위가 가장 심할 때여서, 대서에는 "더위로 염소뿔이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대서 시기가 지나면 바람에서 가을 냄새가 느껴지는 입추가 온다.

대서의 풍속

 

대서를 전후해서 한반도에는 장마전선이 끝나고 폭염이 기승을 부리며, 중복 무렵에 해당되어 더위를 피해 계곡을 찾거나 보양 음식을 마련해 먹는다. 고대 중국에서는 대서를 맞아 황제가 신하에게 얼음을 하사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얼음은 겨울에 채취하여 빙고에 저장했던 것을 꺼낸 것으로, 베이징에 여러 곳의 빙고가 있었다. 또한 대서를 전후하여 민간에서는 햇볕에 옷을 말리고, 사찰에서는 경서를 꺼내어 습기를 제거하기도 했다. 더운 여름철을 위한 보양식으로는 연잎죽을 즐겨 먹었다.

한반도에서는 장마철에 부쩍 자란 잡초를 베어 퇴비를 장만하며, 논밭에 무성한 김매기에 여념이 없는 계절이다. 수박과 참외 등 여름 과일이 풍성하여 더위에 지친 입맛을 살려준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유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7월 무렵에 해당)'에 소서, 대서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24절기

절기

일자

내용

입춘()

2월 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우수()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경칩()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춘분()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청명()

4월 4일 또는 5일

봄 농사준비

곡우()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입하()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소만(滿)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 시작

망종()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하지()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서()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대서()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입추()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처서()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백로()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한로()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 내리기 시작

상강()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입동()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 시작

소설()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한()

1월 5일 또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대한()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대서 이야기

우리나라에서 이 시기는 대개 중복() 때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다.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여름의 토용()은 이 계절에 들어간다. 토용이란 토왕용사()의 준말로 토왕지절()의 첫날을 말한다. 토왕지절은 오행설()에서 토기()가 왕성하다는 절기이다. 사계절은 사립(, 입춘·입하·입추·입동)에서 시작하므로 사립 전의 18일간이 토에 배당되는데, 토왕용사에 태양은 각각 황도 위의 황경 27도, 117도, 207도, 297도의 위치에 온다. 오행설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태양의 황경에 기준을 둔 것이므로 계절의 변화와 일치한다. 특히 겨울의 토왕용사는 혹한()의 시기이고, 여름의 토왕용사는 혹서()의 시기이다. 이것을 각각 겨울의 토용, 여름의 토용이라고도 한다. 토왕용사에 흙일을 하면 해롭다는 속신()이 전해지기도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 입기일()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로 하였는데, 『고려사()』의 기록을 보면 대서는 6월 중기로 초후()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오고, 차후()에는 흙에 습기가 많으며 무덥고, 말후()에는 큰 비가 때때로 온다고 하였다.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으므로,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다.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한다. 불볕더위, 찜통더위도 이때 겪게 된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른 것은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 위함이다.
이 무렵이 되면 농촌에서는 논밭의 김매기, 논밭두렁의 잡초베기, 퇴비장만 같은 농작물 관리에 쉴 틈이 없다. 또한 참외, 수박, 채소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있다.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고, 가물면 과일 맛이 난다.

1932년 7월 24일 《동아일보》 대서기사를 보면 "더위가 머리를 드는 소서부터 16일째인 대서는 더위가 들어갈 처서까지 앞으로 31일이나 남았는데 하늘은 납덩이 같은 구름으로 덮여 있고 삶는 듯 쪄대는 수은주는 오르고 올라 정오에는 섭씨 39.9도를 가리켰다"는 글이 보입니다. 공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당시의 여름더위도 가히 살인적인 더위였던 듯하지요. 이러한 무더위 속에 소나기가 한바탕 내리면 마당엔 빗줄기를 타고 하늘로 치솟았다가 땅으로 떨어져 버둥거리는 미꾸라지들이 눈에 띄는데 이를 잡아 추어탕을 해먹으면 기운이 난다고 했습니다. 더울수록 땀으로 손실된 열량을 신경 써야 할 계절입니다.

 

한 발을 오랫동안 계속하면 각 마을마다 비옷이 제공됩니다.  작동하지 않으면 이동 한 것입니다.  비에 대한 간절한 소망입니다.  농부들은 여전히 ​​서있을 수 없었기 때문에 항아리 안에 도마뱀을 잡고 병에 버드 나무를 넣고 비를 원했습니다.

  쌀 농사에서 가장 무서운 질병은 가뭄과 차가운 바다입니다.  과거에는 가뭄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지만 오늘날 저수지 건설은 많은 해답을 없애고 수도 펌프와 같은 농업 기계의 개발은 큰 해를 끼치 지 않습니다.

  오히려 날씨가 춥고 비만인 추운 날씨는 현대 과학에 대한 대책이 없습니다.  그것은 단지 천공 된 하늘을 쳐다보고 비난을가합니다.

  여름철에 빈번한 강우량과 차가운 바다는 열병과 같은 다양한 질병과 해충을 유발하는 요인입니다.

  이번에는 과일이 가장 맛있습니다.  특히, 수박은 가뭄 후에 맛이 좋으며 샤워 직후에 많이 뿌려지는 미꾸라지 또한 특별합니다.  멜론과 수박이 풍부하고 밀과 보리를 먹고 야채가 풍부하며 녹지가 두껍습니다.  현재 과일이 가장 맛있습니다.  그러나 비가 너무 많이 내리면 단맛이 사라지고 과일은 매우 달콤합니다.

  샤워 후 마당에있는 롯지가 걸려 넘어 질 수 있습니다.  비가 올 때 하늘로 올라가 비가 멈췄을 때 땅에 떨어 졌다고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서(處暑)란? 처서 뜻과 유래  (0) 2020.08.21
입추 뜻과 유래, 음식  (0) 2020.08.02
연차수당 계산법  (0) 2020.07.14
통상임금 계산방법  (0) 2020.07.14
청년저축계좌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  (0) 2020.07.02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