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 뜻과 유래, 먹기 좋은 음식
여름휴가가 한창인 8월 초가 입추다. 한창 더운 가운데 가을 기운이 일어선다. 산에 칡꽃이 피어난다. 아직은 무더위가 마지막 힘을 써 한낮엔 너무 뜨거워 일하기 힘들다. 일을 하면 온몸이 땀으로 범벅이 되어 옷을 다 갈아입어야 한다. 그 뜨거운 햇살을 온몸으로 달게 받으며, 곡식들은 영글기 시작한다. 24절기에서는 무더위에도 자연의 흐름을 읽고 입추라 했으니 이 얼마나 지혜로운가. 농사를 지어 보니 고개가 끄덕여진다.
입추란?
24절기 중, 13번째 절기로서 음력 7월 초순, 양력 8월 8~9일 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135˚에 위치하며, 가을에 들어선다는 뜻대로, 이날부터 입동 전까지를 가을로 친다.
24절기 가운데 대서(大暑)와 처서(處署) 사이에 드는 절기로, 순서로는 열셋째에 해당한다. 양력으로는 8월 8∼9일경, 음력으로는 7월 초순이며, 태양의 황경이 135°에 달하는 날이 바로 입 기일(入氣日)이다. 동양의 역(曆)에서는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가을로 친다.
여름이 끝나고 가을로 접어들었다는 뜻으로, 아직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기는 하지만, 밤이 되면 비교적 선선한 바람이 일기 시작한다. 여름의 흙일도 끝나고 이제 서서히 가을채비를 준비해야 할 시기이다. 옛날 중국에서도 입추의 15일간을 5일씩 3후(三候)로 나누어 ① 서늘한 바람이 불어 오고 ②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③ 쓰르라미가 운다고 하였다.
입추 풍속과 유래
농촌에서는 참깨·옥수수를 수확하고, 일찍 거두어들인 밭에는 김장용 배추와 무를 심기 시작한다. 태풍과 장마가 자주 발생해 논에서는 병충해 방제가 한창이고, 태풍으로 쓰러진 벼를 일으켜 세우느라 분주하다. 이 무렵부터 논의 물을 빼기 시작하는데, 1년 벼농사의 마지막 성패가 이 때의 날씨에 달려 있다고 할 만큼 중요한 시기이다. 아직 남아 있는 늦여름의 따가운 햇살을 받아 벼가 누렇게 익어야 하는 시기이다. 이때부터 처서 무렵까지는 비가 내리지 않아야 풍작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바다에서는 달과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여 밀물과 썰물의 차가 가장 크게 벌어지는 사리현상이 발생해 서남해안 지역의 저지대가 침수, 농작물이 해를 입기도 한다.
입추 무렵의 풍속으로는 '기청제(祈晴祭)'가 있다. 예부터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여무는 시기이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것을 가장 큰 재앙으로 여겼다. 해서 각 고을에서는 비가 내리지 않고 맑은 날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늘에 기청제를 지냈는데, 성문제(城門祭)·천상제(川上祭)라고도 한다. 즉 비가 닷새 또는 보름 동안 계속해서 내리면 조정이나 고을에서 비가 멈추게 해 달라고 제를 올렸던 것이다. 봄·여름에 가뭄이 계속되면서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을 때 비를 내려 달라고 지내는 기우제(祈雨祭)와는 반대 성격의 제사이다.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되어야 한다. 조선 시대에는 입추가 지나서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는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렸다 한다.
입추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이므로 이날 날씨를 보고 점친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萬穀)이 풍년이라고 여기고, 이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여긴다. 또한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 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친다.
입추가 지난 뒤에는 어쩌다 늦더위가 있기도 하지만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때부터 가을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특히 이때에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 김장에 대비한다. 이 무렵에는 김매기도 끝나가고 농촌도 한가해지기 시작한다. 그래서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는 말이 거의 전국적으로 전해진다. 이 말은 5월이 모내기와 보리 수확으로 매우 바쁜 달임을 표현하는 “발등에 오줌 싼다.”와 좋은 대조를 이루는 말이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 문턱에 들어가는 때이다.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익는 때여서 '입추 때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고 할 정도였다. 김장 배추와 무를 심어 김장 준비를 한다. 이때부터 농촌은 한가해져서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고 한다. 입추가 지나면 쓰르라미가 울기 시작해서 제법 가을 분위기가 난다.
중국에서는 입추에 신맛의 과일과 야채를 많이 먹고, 위와 폐를 잘 보살펴 곧 서늘해지는 가을 날씨에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고기나 생선을 먹어 여름 더위에 지친 몸의 원기를 북돋거나 수박을 먹어 더위를 식히곤 했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칠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8월 무렵에 해당)'에 입추, 처서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월령
칠월이라 맹추 되니 입추 처서 절기로다
화성은 서류하고 미성은 중천이라
늦더위 있다 한들 절서야 속일소냐
비 밑도다르도다
가지 위의 저 매아미 무엇으로 배를 불려
공중에 맑은 소리 다투어 자랑는고
칠석에 견우 직녀 이별루가 비가 되어
섞인 비 지나가고 오동잎 떨어질 제
아미 같은 초승달은 서천에 걸리거다
슬프다 농부들아 우리 일 거의로다
마음을 놓지 마소 아직도 멀고 멀다
골 거두어 김매기 벼포기에 피고르기
낫 벼러 두렁깎기 선산에 벌초하기
거름풀 많이 베어 더미 지어 모아 놓고
자채논에새보기와 오조밭에 정의아비
밥가에길도 닦고 복사도 쳐 올리소
살지고 연한 밭에 거름하고 익게 갈아
김장할 무우 배추 남먼저 심어 놓고
가시울 진작 막아 서실함이 없게 하소
부년들도 헴이 있어 앞일을 생각하소
베짱이 우는 소리 자네를 위함이라
저 소리 깨쳐 듣고 놀라쳐 다스리소
장마를 겪었으니 집안을 돌아보아
곡식도 거풍하고 의복도 포쇄하소
명주 오리 어서 몽져 생량 전 짜아 내소
늙으신네 기쇠하매 환절 때를 조심하여
추량이 가까우니 의복을 유의하소
빨래하여 바래이고 풀 먹여 다듬을 제
월하의 방추 소리 소리마다 바쁜 마음
실까의골몰함이 일변은 재미로다
소채 과실 흔할 적에 저축을 생각하여
박 호박 고지 켜고 외 가지 짜게 절여
겨울에 먹어 보소 귀물이 아니될가
면화 밭자로 살펴 올다래 피었는가
가꾸기도 하려니와 거두기에 달렸느니
입추에 먹기 좋은 음식
1. 재첩국
입추 음식으로 손꼽히는 재첩국. 여름같지만 환절기인 입추에는 면역력이 저하되기 쉬워 제철 음식 재료가 듬뿍 들어가 있으면서도 영양소를 두루 갖춘 음식을 먹 어주어야 합니다. 재첩국은 단백질 함량이 두부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고 메티오닌과 타우린이라는 성분이 간 기능을 개선시켜 입추 전의 재첩국은 간장약이라는 옛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또한 칼슘과 두뇌 발달에 좋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입추에 먹는 음식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2. 옥수수
3. 미꾸라지
입추에는 가을이 제철인 미꾸라지를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미꾸라지는 더위가 한풀 가신 후에 지친 체력을 보충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비타민A 와 비타민D가 풍부해 야맹증, 시력보호에 효과가 있고 성장기 어린이의 뼈성장에 도움을 두며 지방은 적고 단백질, 칼슘, 철분 등이 많이 들어있어 체력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0) | 2020.09.11 |
---|---|
처서(處暑)란? 처서 뜻과 유래 (0) | 2020.08.21 |
대서 뜻과 유래 먹기좋은 음식 (0) | 2020.07.23 |
연차수당 계산법 (0) | 2020.07.14 |
통상임금 계산방법 (0) | 2020.07.14 |
댓글